본문 바로가기

멀티탭활용3

충전기는 사용 후 반드시 뽑아야 할까? 충전기는 사용 후 반드시 뽑아야 할까?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을 충전한 후, 충전기를 그대로 콘센트에 꽂아두는 일이 많다. 아무것도 연결되어 있지 않으니 전기가 소모되지 않을 거라 생각하기 쉽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이번 글에서는 충전기 대기전력의 실체와 함께, 왜 사용 후 플러그를 뽑는 습관이 중요한지 알아본다.1. 충전기에도 대기전력이 존재한다충전기가 콘센트에 꽂혀 있는 상태라면, 기기를 연결하지 않아도 내부 회로가 계속 작동하며 소량의 전력을 소비한다. 충전기 1개당 소비량은 작지만, 장시간 방치하거나 여러 개가 연결된 경우 누적 전력은 무시할 수 없다.2. 월간 누적 시 꽤 큰 전기요금으로충전기 1개가 하루 0.5W를 소비한다고 가정했을 때, 한 달이면 약 15W, 여러 대의 충전기가 동시에 연결.. 2025. 7. 16.
안 쓰는 전자기기, 플러그 뽑아야 하는 이유 안 쓰는 전자기기, 플러그 뽑아야 하는 이유전자기기를 사용하지 않아도 플러그가 꽂혀 있는 상태라면, 적지 않은 전력이 계속 소비되고 있다. 이를 '대기전력'이라고 하며, 가정 내 전기요금의 10% 이상을 차지하는 경우도 있다. 이번 글에서는 대기전력이 무엇이며, 왜 사용하지 않는 기기의 플러그를 뽑아야 하는지 구체적으로 알아본다.1. 대기전력이란 무엇인가?TV, 셋톱박스, 전자레인지, 충전기 등은 전원을 꺼도 내부 회로나 LED 표시등 등이 작동하며 전기를 소모한다. 이처럼 대기 상태에서도 소비되는 전기를 대기전력이라고 한다. 일상에서 무심코 지나치기 쉬운 부분이다.2. 한 달 누적 전력은 무시할 수 없다기기 하나하나의 대기전력은 작게 느껴질 수 있지만, 여러 기기가 동시에 지속적으로 소비하게 되면 누적.. 2025. 7. 15.
가전제품 대기전력 차단 팁 정리 가전제품 대기전력 차단 팁 정리가전제품을 사용하지 않아도 콘센트에 꽂혀 있는 것만으로 전기를 소모하는 것을 ‘대기전력’이라고 한다. 이 대기전력은 작게 느껴지지만, 하루 24시간 계속되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누적되면 전기요금에 상당한 영향을 준다. 이번 글에서는 일상 속 가전제품의 대기전력을 줄이는 실천 팁을 정리해본다.1. 어떤 기기가 대기전력을 쓰는가?텔레비전, 셋톱박스, 공유기, 전자레인지, 전기밥솥, 컴퓨터 등 대부분의 가전제품은 전원을 꺼도 대기전력을 소모한다. 리모컨을 통한 전원 조작이 가능한 제품일수록 대기전력 발생률이 높다.2. 멀티탭 스위치로 한 번에 차단가장 손쉬운 대기전력 차단 방법은 스위치가 달린 멀티탭을 사용하는 것이다. 외출 시나 취침 시에 스위치만 끄면 여러 기기의 전원을 한 번.. 2025. 7. 10.